CAJO1110 아주희망전공진로탐색 (Ajou Dream)
대학 및 학과의 교육, 활동, 진로에 대하여 이해하고 자기주도적 학습 계획과 대학 생활 계획을 설계한다.
POL105 정치학원론 (Principle of Political Science)
정치학 전반에 걸친 기초적인 이론들을 통해 정치학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도모한다. 정치학의 연구목적, 방법, 정치과정 그리고 국제관계에 대한 기초적인 이론 등을 다룬다.
ECON111 경제원론1 (Principlesof Economics 1)
합리적 선택, 수요와 공급, 시장 균형, 소비자와 판매자의 유인, 외부효과와 공공재 등 경제학의 가장 기초적인 개념들에 대해 소개한다.
SOC1112 사회학원론 (The Principles of Sociology)
사회학 입문과목으로, 사회학적 개념과 이론을 바탕으로 복잡한 현대사회의 주요 특성을 분석하며, 나아가 인간 사회의 조직원리와 인간 행동에 대한 사회의 영향을 탐구한다.
POL236 민주주의와 선거제도 (Democracy and Electoral Institutions)
금권, 관권의 타락된 선거캠페인의 관행이 사라지면서 정당들은 정강정책을 홍보해야 하며, 입후보자들도 광고와 홍보의 방법을 다양하게 활용하여 자신들의 정치적 입장과 정책적 내용을 유권자들에게 알려야 한다. 기업들이 하는 경영전략이나 광고의 방법을 활용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이 과목에서는 현대 정치의 경영적 측면을 다양하게 다룬다.
POL234 정치경제학 (Political Economy)
정치와 경제의 연관성을 다룬다. 이론 분야는 마르크스주의, 신고전경제학, 국가주의 등을 균등하게 배분하여 다루며, 현실에 대한 분석은 선진국 정치경제, 개발도상국 정치경제 그리고 국제정치경제를 대상으로 한다.
POL273 한국외교정책 (Korean Foreign Policy)
외교정책에 대한 연구는 외교정책 형성과정과 Output으로의 외교정책 등 두 분야로 나눌 수 있다. 이 과목에서는 한국의 외교정책에 대한 철학적 배경과 함께 한국외교정책이 결정되는데 관련이 있는 결정과정구조와 기구들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진다. 즉 한국의 헌법, 대통령, 정부, 국회, 정당, 이익집단, 여론 등이 어떻게, 어떤 과정을 통해 외교정책 형성에 영향을 주는가에 대해 알아본다. 또한 기능상의 외교정책 즉 한국의 안보, 경제, 환경에 대한 외교정책은 어떠한가를 살펴보고 세계 주요 국가나 지역에 대한 외교정책도 검토한다. 따라서 한국의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유럽, 중동과 아프리카 그리고 유엔 등에 대한 외교정책도 살펴본다.
POL241 한국정치 (Korean Politics)
해방 이후 최근까지 전개되고 있는 한국 정치의 주요 문제들을 다룬다. 정당, 의회, 이익집단과 같은 정치행위자들은 물론 선거, 정치문화, 리더십, 민군관계와 같은 한국정치를 둘러싸고 있는 다양한 요소들을 동태적으로 고찰함으로써 한국정치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자 한다.
POL222 합리적 선택과 정치학 모델 (Rational Choice and Formal Modelling)
합리적 선택(Rational Choice Approach) 접근 방식을 이용한 정치학 분석 방법을 배운다. 즉, 합리적인 정치 행위자가 서로 다른 이해관계를 가지고 서로의 이해관계에 영향을 미칠 때 초래되는 결과를 계량적 모형 설정과 게임이론 적용을 통해 엄밀하게 분석하는 방법에 대해 학습한다. 또한 이러한 방법이 의회나 선거같은 정치학의 고유한 영역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배운다. 마지막으로 합리적 선택의 장점과 단점에 대한 논의를 통해 계량적 분석 방법과 게임이론의 유용성을 이해한다.
POL251 미국정치 (American Politics)
서구민주정치를 대표하는 미국정치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미국정치 전반에 대한 폭 넓은 이해를 도모한다. 미국 정치의 전통, 관행과 구조, 정당, 이익집단, 정책결정과정 등에 대한 분석을 통해 다원주의적 민주정치체제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추구한다.
POL330 법과 정치 (Laws and Politics)
한국사회의 민주화에 따라 정치는 민주적 의사결정방식을 따르게 되었으며 이는 곧 법치주의의 확립을 의미한 다. 이와 같은 변화를 반영하듯이 한국사회에서의 정치적 논의는 헌법이나 선거법 같은 정치제도 개혁에 새로운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최근 서구의 동향은 기존의 법해석적 접근방법에서 벗어나 정치관련 제도들을 정치참가자들의 게임규칙으로 분석하려는 추세에 있다. 본 과목의 신설은 한국 민주주의 변화의 요구를 반영하고 서구의 제도연구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소개한다.
POL343 정당정치론 (Party Politics)
정당은 현대 정치를 이해하기 위한 필수 요소들 중 하나이다. 이 과목은 정당의 기원과 정당 체제에 관한 역사적 이론적 접근을 통해 정당 정치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돕는다. 또한 현대 정당의 구조와 기능에 대해서도 논의한다. 정당은 선거와 정책 형성 및 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학생들은 이 수업을 통해 정당이 선거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를 파악한다. 또한 정당이 국회 및 대통령과 어떠한 영향력 관계를 형성하며, 이러한 관계가 정책 형성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를 검토한다. 이러한 이론적 논의를 토대로 정당 및 정당 정치의 특징을 이해하며, 민주주의의 미래에 대해 고민한다.
SLEZ321 스포츠·문화산업과 법 (Law in Sport & Cultural Industry)
21세기에 스포츠산업과 문화산업의은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각광받으며 발전하고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영역에서 이전에 없었던 새로운 법률 분쟁들이 발생되고 있다. 이 수업은 스포츠와 문화산업 분야에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 간의 대립과 갈등이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는지, 그 갈등이 법적 다툼으로 어떻게 나타나고 해결되고 있는지에 관하여 이해하기 위해 법학적 이론과 판례를 중심으로 학습한다.
POL374 국제관계의 이해 (Understanding of International Relations)
20세기 초 국제관계가 독립된 학문체계를 갖추기 시작하여 오늘까지 개발된 여러 이론이 소개된다. 학문으로서 국제관계는 그 폭이 넓고 다양하므로 이와 관련된 모든 중요한 이론들이 다루어진다. 국제관계를 바라보는 기본 관점에 대한 소개로부터 갈등과 전쟁이론, 통합이론, 국제정치경제의 이론 그리고 외교정책과 관련된 이론 등에 대해 공부하고 이들 이론에 대한 적용이 시도된다.
POL171 국제관계 입문 (Introduction to International Relations)
오늘날 국제관계는 폭발적으로 증가하였다. 국가간에 일어나는 사건들의 종류도 매우 복잡하며 이들 사건들을 일어나게 하는 국제 관계의 행위자도 매우 다양하다. 따라서 국제관계는 상당히 다학문적인 접근을 필요로 하며 일정한 분석 틀을 통한 이해가 절실히 요구된다. 국제관계 입문은 국제관계의 가장 기초과목으로서 이후에 접할 여러 국제관계과목들을 수강하는데 무리가 없도록 국제관계의 제반 이슈(국제관계의 주요 이념, 외교, 국제기구, 전쟁과 평화, 국제 무역, 국제 통화, 선진국과 후진국 간의 갈등) 등을 다룬다.
POL104 정치통계와 데이터 분석 (Statistics of Social Sciences)
사회과학에 통용되는 경험적 분석방법의 기초 개념들을 다룬다. 확률변수와 확률분호, 추정과 검정, 상관관계와 회귀분석 등이 연구된다. 이론의 연구에만 치중하지 않고 현실 자료에의 적용과 평가도 강조된다.
POL221 정치의 이해와 분석 (Political Understanding and Analysis)
현실의 정치현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의 분석방법과 기법이 필요하며, 그러한 방법과 기술은 논리실증주의나 현상학 등의 철학적 입장이나 패러다임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된다. 과학, 지식, 이론, 일반화, 설명, 접근법, 경험주의, 연역법, 귀납법 등 학문연구의 기초적 개념들과 그 개념들간의 연관성을 공부하고, 후반에는 현실정치를 분석하는 여러 가지 기법(예: 권력, 여론, 선거, 지도자 형태분석기법 등)을 공부하게 된다.
POL231 비교정치 (Comparative Politics)
현대정치학을 대표하는 비교정치론은 세계각국의 정치 체계가 지니고 있는 다양한 특성과 쟁점들을 다룸으로써 각국정치체제에 대한 폭 넓은 이해를 추구한다. 비교정치에서 다루는 주요 개념, 접근 방법 및 영역을 공부함으로써 현대정치 분석에 대한 다양한 안목을 기른다.
POL237 대중매체와 정치 (Mass Media and Politics)
대중매체는 현대 민주주의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시민들은 대부분의 정치 정보를 대중매체를 통해 얻는다. 정치인들 또한 대중매체를 통해 여론의 흐름을 이해하곤 한다. 이 과목은 대중매체와 정치와의 관계를 전반적으로 검토한다. 학생들은 정치커뮤니케이션을 포함하는 정치행태와 관련한 기본적인 개념과 이론을 이 수업을 통해 습득하게 된다. 이 수업의 대표적인 주제는 대중매체와 여타 주요 정치 행위자들 간의 영향력 관계를 분석하고 이해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 학생들은 수업시간에 새로운 매체가 정치와 정치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토론하게 된다.
POL272 전쟁과 평화 (War and Peace)
국가 간의 관계는 궁극적으로 전쟁과 평화의 문제이다. 국가들 사이의 전쟁은 시간과 지역을 가리지 않고 일어나고 있으며 인류에게 더 이상의 비극적인 현상은 없다고 볼 수 있다. 이처럼 비참한 국가들 사이의 전쟁을 방지하고 국가간 화해와 협력관계를 유지하는 방법을 모색하고 해법에 대한 검토의 시간을 갖는 것이 이 과목의 주요 내용이다. 인간 본성, 사회제도, 국가 및 국제체제에 기인하는 모든 전쟁의 원인을 밝혀보고 이를 방지하기 위한 모든 방안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진다. 또한 평화를 유지하기 위한 법적, 제도적, 정치적 방법 등에 대한 소개도 시도된다.
POL225 중국와 대외관계 (Foreign Relations of China)
중국 현대 외교안보정책을 설명하고, 중국의 외교 및 안보분야에서 양자 및 다자관계를 분석. 한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탐구한다.
POL276 국제전략론 (Study of Strategies in International Relations)
현 국제질서는 대 혼란기에 접어들고 있다. 미국의 자유주의적 패권질서가 붕괴되면서 새로운 국제젤서의 태동기에 있다. 이는 기존 미국적 질서에 익숙한 한국에게는 외교안보경제 모든 분야에서 커다란 도전이 될 것이다. 우려할 점은 한국 정부나 기업 모두 이 새로운 정세를 읽고 대응할 역량이 미흡하다는 것이다. 우리 시야는 한반도와 동북아를 넘어 세계로 공간을 확장해야 하고, 보다 중장기적이고 다차원적인 변수를 읽는 전략적 사고가 필요하다. 이 수업은 그간 지나치게 공간적으로 협소하고, 미시적이었던 우리 국제정세의 이해 지평을 크게 넓히고자 한다. 시대가 필요로 하는 전략적 시야를 가진 전문가를 육성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고대에서 현대에 이르는 전략사상가들의 글을 읽고, 전략적 사유의 의미를 이해하며, 현대 미중 전략경쟁의 시대를 독해하는 능력을 배양하고자 한다. 국가적 기관이나 기업의 주요 지도자가 되고자 하는 모든 학생들에게 필수 과목이 될 것이다.
POL271 국제정치사 Diplomatic Politics
1815년 비엔나협의 이후 제1차 세계대전과 제2차 세계대전까지 유럽에서 전개된 국제정치, 그리고 1842년 남경조약을 시발로 본격화된 서구 열강들의 중국침략과 이에 이은 복잡한 동북아 국제관계에 대한 자세한 전개 상황을 연대기적으로 검토하게 된다. 주로 1945년 이전의 국제정치사를 공부하며 최근의 국제관계에 대한 사적 소개도 간단히 이루어진다. 과거 동서양 국제관계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통해 현대 국제관계를 올바로 이해할 수 있는 안목을 키운다.
POL275 미중관계론 (U.S.-China Relations)
국제관계의 가장 중요한 행위자는 국가이며 이들 국가들의 대외적 행위는 외교정책으로 나타난다. 세계사가 그래왔듯이 강대국들의 국제관계는 국제관계의 거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따라서 강대국들이 어떠한 외교정책을 추구하는가는 21세기 국제사회를 살아갈 세대에게 거의 필수적이다. 더구나 20세기 세계를 주름잡던 국가들에 둘러싸인 한국의 경우는 더욱 그러하다. 이 과목에서는 강대국 국제정치의 이론적 고찰, 미국의 대외정책 결정과정과 정책, 중국의 대외정책 결정과정과 정책, 그리고 미중 양자관계의 역사에서 현안에 이르기까지 양자관계의 포괄적인 측면을 다 다룬다.
POL372 국제정치경제 (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y)
냉전 이후 국제관계에서 가장 중요한 주제로 부상한 것이 국가 간 경제 문제이다. 즉 앞으로의 국제관계에서 가장 많이 다루어질 안건이다. 이 과목에서는 국제정치경제를 바라보는 다양한 시각을 공부하고 국제무역, 국제금융, 외채, 다국적기업의 활동, 자원, 기술이전, 환경 등의 주요 이슈들을 둘러싼 국가들의 정치관계에 대해 검토해 본다. 또한 국제경제 문제에 있어 부국들과 빈국들 사이에 어떠한 부분에서 어떠한 내용의 갈등을 보이고 있으며 이에 대한 해결 방법은 무엇인가에 대한 소개도 이루어진다. WTO의 출범과 이에 따른 국제정치 경제의 영향에 대한 평가도 시도될 것이다.
POL430 기업과 정치 (Business and Politics)
최근 기업지배구조(Corporate Governance)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면서 기업과 정치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이 과목은 기업을 정치의 주체이자 대상으로서 접근한다. 먼저 기업 활동에 대한 정치적 분석을 위해 기본적인 개념과 이론을 제시한다. 다음으로 미시적 관점에서 기업 조직 내부에 존재하는 사내정치(Corporate Politics)의 문제를 사례를 중심으로 검토한다. 그 다음에는 거시적 차원에서 기업이 국가와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기업의 사회적 책임(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논쟁을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미국, 독일, 일본 및 한국의 기업 지배구조의 변천과정을 역사적으로 비교한다.
POL331 여론과 선거경쟁 (Public Opinion and Electoral Competition)
본 과목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다. 첫째, 여론의 개념, 형성, 변화와 이의 이해를 위한 이론들을 소개한다. 이 이론들은 정치 지도자나 메스미디어로부터 습득한 지식이 어떻게 정치적 선호도로 전환되는가를 설명한다. 둘째, 본과목은 선거경쟁을 분석하기 위한 다양한 경험연구와 공간모형을 소개한다.
POL253 일본정치 (Japanese Politics)
우리와 같은 동아시아권에 속하며, 한국사회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일본을 이해하기 위하여 일본의 정치, 역사, 경제, 문화 등 일본사회 전반에 걸쳐 심층적으로 분석한다.
POL332 정치체제론 (Analysis of Political System)
정치체제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실증적 분석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권위주의 체제와 자유민주주의 체제의 비교, 그리고 자유 민주주의 체제 내의 변형과 분류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를 통해서 민주주의 체제의 틀 속에서 대표성, 반응성 등과 같은 민주적 가치들이 어떻게 실현될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POL252 중국정치 (Chinese Politics)
현재 중국은 우리와 정치·경제적으로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중국의 공산정권 수립과정으로부터 현대까지의 변화를 다룬다. 특히 지난 10년간 변화된 중국의 정치, 경제, 문화, 사회, 외교 등을 집중적으로 논의한다.
POL344 의회정치론 (Politics in Assembly)
의회는 대의민주주의를 기능하게 하는 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기관의 하나이다. 본 과목에서는 대의 민주주의의 중추적 기관으로서 의회가 수행하는 역할과 기능들 – 입법, 대표, 행정부에 대한 견제와 감시 등 – 이 의회와 행정부의 관계, 즉 정부형태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 지를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의회가 실제로 어떻게 작동하는가를, 한국과 미국, 그리고 유럽의 의회에 대한 비교를 통해서 살펴볼 것이다.
POL435 현대정치세미나 (Seminar in Contemporary Politics)
이 과목은 현대 정치의 주요 주제들을 논의하고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수업에서 학생들은 정치행태와 관련한 정치학의 주요 이론을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현실 정치를 비교 분석한다. 또한 이 수업에서 학생들은 정치학의 미시 이론과 거시 현상을 연계하여 정치 현상을 설명하고 토론한다. 이 수업은 발표와 토론을 중심으로 진행된다. 학생들은 스스로 주제를 정하고 이와 관련한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이 과정을 통해 학생들은 기존의 정치에 대한 이해를 확장할 수 있다.
POL471 국제기구 (International Organizations)
탈냉전 이후 국제관계에서 국제기구의 기능과 역할이 그 어떤 시대보다 높이 요구되고 있다. 국제관계의 다양한 이슈영역에서 다양한 종류의 다자간 협력이 가능해졌고 이로 인해 국가 간 협력관계가 더욱 탄력을 받고 있다. 국제기구의 일반적 기능과 역할에 대한 이론적 검토와 함께 정치, 군사, 경제, 환경, 문화 등 제반 영역에서의 주요 국제기구에 대한 개별탐구가 이루어진다. 범지구적 국제기구뿐만 아니라 지역적 국제기구 및 비정부적 국제기구들도 검토 대상이다.
POL257 북한정치 (Politics of North Korea)
북한정치에 대한 전반적인 것을 포함한다. 정권의 형성과정, 정권의 특성, 당과 정부의 기구, 주체사상의 내용과 발전, 관료체제, 김일성·김정일 체제의 지속을 위한 전략과 방법 등에 대하여 포괄적으로 다루고, 북한 사회와 경제상황에 대한 보충적 자료를 통해 북한정치를 이해하고 미래를 예견해 본다.
POL254 유럽정치 (European Politics)
유럽의 과거와 현재는 한국의 현재와 미래를 분석, 전망해 보는데 있어 많은 시사점을 줄 뿐만 아니라, 유럽연합은 강력한 경제블럭을 형성하고 있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유럽의 변화를 중심으로 논의한다. 주로 논의될 분야는 각국의 정부형태, 정당체제의 변화, 복지국가, 신사회운동, 유럽통합, 유럽 각국의 지방자치 등이다.
POL373 현대 동아시아 국제관계 (Contemporary International Relations in East Asia)
근대 동아시아의 국제관계는 갈등과 대립의 역사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19세기말과 20세기 전반에 이르는 동안 동아시아에서 발생한 여러 전쟁과 식민통치가 이를 증명해주고 있다. 또한 20세기 후반에는 이념과 체제가 다른 두 체제 간 심각한 경쟁과 갈등이 존재하였다. 이러한 과거는 21세기 이 지역의 국제관계에도 크게 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높다. 분단된 한국의 입장에서 과거의 동아시아 국제관계를 통찰함으로써 21세기 동아시아 국제관계를 보다 안정적으로, 한국에게 보탬이 되도록 이끌어 갈 수 있는 혜안을 갖도록 함이 이 과목의 목표이다.
POL475 과학기술의 국제정치 (International Politics of Science and Technology)
본 교과목은 과학기술의 발달로 인해 야기되는 국제정치의 변화 또는 연속성을 국제정치의 이론적 경험적 시각에서 검토한다. 관련 주제의 보다 심층적인 이해를 위해 과학기술에 대한 개념적, 역사적, 학제간 논의한다. 주요 강대국이 4차 산업혁명에 중요한 반도체, 인공지능, 배터리, 전기차, 바이오 등의 산업에서 어떤 전략을 추구하는가를 비교할 것이다.
SLEZ449 스포츠조직 거버넌스와 정책 (Governance and Policy in Sport Organizations)
이 수업은 조직경영학 및 행정학 이론을 바탕으로 스포츠 조직의 이해, 스포츠 조직의 계획 활동, 스포츠 조직의 목표수립과 계획화, 스포츠 조직 경영자의 의사결정, 스포츠 조직의 동기유발, 스포츠 조직의 평가 활동 등을 탐구한다. 이를 통해 수강생들은 성공적인 스포츠조직경영과 스포츠 공공 행정에 필요한 이론 및 실천적 지식을 학습하고, 국내외 사례를 통해 학술적 또는 실용적 의의를 도출한다.
SSS411,414,415 사회과학인턴십 1,2,3 (Social Science Internship 1,2,3)
인턴십 과목은 사회과학대학 학생들로 하여금 전공 관련 현장수업을 통해 실무를 익히고 교육내용의 사회적 적실성을 높이는데 목적이 잇다. 본 과목을 수강하는 학생들은 협약이 체결된 공공기관, 산업체등에 파견되어 학기 또는 방학기간 중 일정 기간 동안 현장업무에 참여˙수행함으로써 학점을 이수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