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부

사회분야

CAJO1110 아주희망전공진로탐색 (Ajou Dream)

대학 및 학과의 교육, 활동, 진로에 대하여 이해하고 자기주도적 학습 계획과 대학 생활 계획을 설계한다.

SOC1112 사회학원론 (The Principles of Sociology)

사회학 입문과목으로, 사회학적 개념과 이론을 바탕으로 복잡한 현대사회의 주요 특성을 분석하며, 나아가 인간 사회의 조직원리와 인간 행동에 대한 사회의 영향을 탐구한다.

ECON111 경제원론1 (Principlesof Economics 1)

합리적 선택, 수요와 공급, 시장 균형, 소비자와 판매자의 유인, 외부효과와 공공재 등 경제학의 가장 기초적인 개념들에 대해 소개한다.

POL105 정치학원론 (Principle of Political Science)

정치학 전반에 걸친 기초적인 이론들을 통해 정치학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도모한다. 정치학의 연구목적, 방법, 정치과정 그리고 국제관계에 대한 기초적인 이론 등을 다룬다.

SOC224 모빌리티의 사회학 (Sociology of Mobilities)

이 수업은 사회를 고정된 구조로 보는 기존의 사회과학 문법에서 벗어나서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이동하는 운동 상태’로 보는 모빌리티 패러다임(Urry 2007)을 바탕으로 현대사회의 다양한 현상을 분석하고 고찰하는 이론적 시야를 형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모빌리티 사회학의 주요 관심사는 인간의 물리적인 장거리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운송수단과 체계 뿐 아니라 이동이 갖는 사회, 문화적 의미와 정치적 효과, 그리고 전 지구적 이동성의 증대와 관련된 유동화의 정치경제에 이르기까지 사회적 삶의 다양한 이동화 과정에 걸쳐있다. 이처럼 다양한 모빌리티에 대한 탐구를 통해 궁극적으로는 재난과 기후변동 같은 미래사회의 위기 앞에서 지속가능한 모빌리티란 무엇일 것인가에 대해 성찰하는 계기를 만들고자 한다.

SOC216 세계시민으로 살기 (Living as a Global Citizen)

전지구화현상으로 우리 사회는 세계화로 인해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를 인식하고 평화적으로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국제 문제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처하는 문제해결능력과 자질을 가진 ‘세계시민’을 필요로 하고 있다. 본 수업은 사회학, 경제학, 정치외교학, 그리고 스포츠레저학과 교수들과 국제기구 전문가들의 강으로 세계 이슈에 대한 지식, 세계시민으로서 갖추어야 할 가치관과 태도를 습득하고, 현장답사와 팀 과제 수행을 통해 국제 사회이슈에 대한 문제 인식과 문제해결 능력을 키울 수 있다.

SLEZ191 스포츠사회학 (Sociology of Sports)

현대사회에서 그 중요성이 점점 커져가는 스포츠 산업과 일상생활의 스포츠 영역에 대한 사회과학적 이론과 연구방법을 통해 이해하고 분석하는 방법을 습득한다. 특히 스포츠 관련 현상에 대한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측면에서 고찰한다. 이를 통해 인간의 삶의 질을 높이는데 이바지 하는 스포츠 및 여가생활이 무엇인지 자신의 생각과 관점을 세워 나간다.

SOC225 감정사회학과 일상생활 (Sociology of emotions and everyday life)

최근 한국 사회는 개인주의의 확산, 생애과정의 개인화(비혼, 만혼, 저출산 등), 3차 산업 혁명으로 인한 기술의 발달(AI 사용, 온라인 상호작용의 증가 등) 코로나19와 같은 판데믹 경험 속에서 급격한 사회변동을 겪고 있다. 한편, 이론적 측면에서는 서구 학계에서는 감정사회학과 인지사회학, 신경과학 등의 이론적 논의가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런데 기존의 사회심리학 커리큘럼은 미국의 전통적인 사회학적 사회심리학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최근의 사회변화와 이론적 논의를 포함하지 못하는 한계를 지니고 있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최근의 사회문화적 변화와 이론적 논의를 포함하는 방향으로 일부 커리큘럼을 수정하고, 사회학적 사회심리학적 이론에 대한 논의 뿐만 아니라 현재 급격한 변화를 겪고 있는 일상생활과 라이프스타일을 분석할 수 있는 다양한 이론적 쟁점과 주제들을 커리큘럼에 포함하려고 한다.

SOC221 인구분석 (Population Analysis)

사회의 주요현상인 인구의 변동 과정 및 변동 요인에 대한 이론과 분석방법을 터득함으로써 인구와 사회와의 관계를 동태적으로 파악한다.

SOC231 사회문제분석 (Social Problems)

급속한 사회변동에 수반하여 제기되는 제반 사회문제들에 대한 주요 이론 및 접근방식을 개관함으로써 사회문제에 대한 체계적 분석능력을 계발하고 해결방식을 모색한다.

SOC252 현대문화분석입문 (Interpretation to Culturalstudies)

문화에 대한 다양한 개념과 이론을 정리하고 문화와 정치, 경제와 같은 다른 사회부문간의 역동적 관계, 일상생활에서의 문화의 역할 등을 분석한다.

SOC262 정보화사회와 미디어 (Media and Information Society)

기술의 급격한 발달, 특히 위성통신 및 교통기술의 발달은 인간관계를 질적으로 양적으로 크게 증폭시켜 놓았다. 이러한 새로운 사회 환경에서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는 인간관계를 가능하게 하는 가장 중요한 수단인 미디어의 역할과 기능에 대해 분석한다. 이 과목은 매스컴사회학, 미래사회연구 등과 연계하여 수강하기를 권장한다.

SOC232 인권과 사회복지 (Human right and social welfare)

이 수업은 인권의 기본 개념과 다양한 이론들을 이해하고, 복지 담론과 정책을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인권에 대한 규범적이고 도덕적인 시각을 벗어나 역사적 변화와 사회 조건 속에서 형상되는 개념으로 접근한다. 인권에 기반하여 다양한 사회복지의 담론을 논의하고 한국사회의 복지 정책을 연구한다. 이를 통해 어떠한 사회가 좋은 사회인가에 대한 궁극적 질문에 답하는 능력을 기른다.

SOC328 사회계층과 불평등 (Social Stratification)

사회적 불평등 및 계층화현상의 형태, 과정, 결과를 주요 이론들을 중심으로 고찰하고 계층화가 사회구조에 미치는 영향 등을 체계적으로 분석, 검토한다.

SOC121 사회통계와 데이터분석 (Statistics of Social Science)

통계를 이용한 사회분석의 핵심적 기법들을 다룬다. 통계학의 기본인 기술통계로부터 시작해서 확률이론에 기반한 추리통계의 이론과 기법 등을 다룬다. 표집을 이용한 모집단의 추론, 두 변인간의 상관관계, 다변인 간의 중다회귀분석 등 통계학의 기본 기법들을 학습한다.

SOC217 사회조사방법론 (Methods in Social Research)

사회학에 있어서 경험적 연구방법과 기법들을 이해하고 터득케 함으로써 제반 사회현상을 경험적, 실증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SOC211 사회학이론 (Sociological Theories)

근대 사회학의 성립과 발전에 기여한 초기 사회학자들의 이론과 사상을 심층적으로 검토하고 현대사회학의 주요 일반이론 등에 대한 체계적 이해 및 비판적 검토를 통하여 사회학 이론의 새로운 관심과 흐름을 탐구한다.

SOC428 사회학세미나 (Sociology Seminar)

조사/연구 실습 과목으로써 사회학전공 교수 전원이 참여하여 운영하는 과목으로 학생들이 선정하는 주제에 따라 지도교수가 배정된다. 교과목의 내용은 1)연구주제설정 2)연구계획서 작성 3)연구방법수립 4)자료수집 및 분석 5)보고서 작성 또는 영상물 제작 6)연구보고회 개최 및 평가 7)결과물 수정 및 제출로 구성된다.

SOC101 사회학개론 (Introduction to Sociology)

사회학적 개념과 이론을 바탕으로 복잡한 현대사회의 주요 특징을 분석하며, 나아가 인간 사회의 조직원리와 인간 행동에 대한 사회의 영향을 탐구한다. 이 과목은 현대사회의 성립배경, 특징 그리고 전망에 대한 관점을 형성케 하며, 인간과 사회 간의 관계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힌다.

SOC254 미디어로 보는 한국사회 (Korean Society through Film and Media)

한국 사회의 여러 가지 현안들을 영화를 비롯한 다양한 미디어 문화 현상을 통해 탐구한다. ‘한국적인 것’은 무엇인가라는 문화 정체성에 대한 질문에서부터 시작하여, 미디어 감상과 분석, 토론을 통해 한국사회에 관한 다양한 사회학적 주제들을 살펴본다.

SOC242 사회변동과 발전 (Social Change & Development)

사회구조의 변동원인, 과정 및 결과에 관한 이론적 관점들을 소개함으로써 거시적 수준의 전체사회변동을 다각적으로 분석하며, 사회변동의 특수분야로서의 발전과 저발전의 원인, 과정, 결과들에 대한 다양한 이론과 경험적 연구들을 주로 제3세계의 발전문제에 초점을 두어 검토한다.

SOC243 지구화와 지역현안의 사회학적 이해 (Contemporary Social Issues in Global and Local Contexts)

세계 각 지역에서 벌어지는 전쟁이나 테러, 기아, 재난 등과 같은 급박한 소식들은 우리의 삶과 큰 관련이 없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상은 많은 부분에서 우리의 일상은 그와 같은 먼 지역의 현실과 연결되어 있다. 이 과목에서는 지구화로 대변될 수 있는 전 지구적 사회변동과 그 구조를 가장 최근의 지역현안들에 대한 토론을 통해 이해한다. 문화적, 인종적, 민족적, 종교적, 정치적 차이로 인한 다양한 갈등과 그에 대한 각 지역사회의 대응에 대하여 세계 주요 언론에 실린 기사를 읽고 이를 사회학적으로 분석, 토론한다.

SOC223 공간과 도시의 사회학 (Sociology of space and cities)

이 수업은 공간과 도시에 대한 사회학적 이해를 다룬다. 지리적인 공간과 도시는 사회와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형성 변화된다. 사회 또한 그 공간적 환경에 의하여 영향을 받으며 새로운 특성을 지니게 된다. 공간과 도시의 구조와 특성, 변천 과정, 그리고 계층 갈등과 이주 등의 제반 문제 등을 거시사회적 분석을 통하여 논의한다. 또한 여러 규모의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일상적이고 미시적인 사회 관계를 분석한다.

SOC226 미디어의 역사와 미디어 리터러시의 변화 (Media history and media literacy)

매스커뮤니케이션의 발전과정과 그 사회적 기능을 사회적 상호작용 및 사회조직 등과 관련하여 검토한다.

SOC3310 과학기술의 사회학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과학기술 발전의 사회적 맥락이라는 주제를 다루며, 사회학을 중심으로 연관 학문 분야를 아우르는 학제간적 접근을 시도한다. 학생들은 이 과목을 통해 과학적 지식의 사회적 구성이라는 지식사회학 개념과 이론을 학습하고 이를 현실의 사례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나아가 지구적 차원의 위험 사회라는 사회학적 관점을 통해 현재 상황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시도하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적인 미래 과학기술 발전의 방향을 모색한다. 특히 과학기술 분야의 여러 정책적 처방을 둘러싼 주요 쟁점을 살펴본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지속가능한 사회의 미래를 위한 과학기술의 역할을 조망한다.

SOC3311 사회과학 고전읽기 (Reading Social Science Classics)

사회학은 사회에 대해 질문을 던지고 그 질문에 답함으로써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를 이해하는 학문이다. 사회에 대해 질문을 던질 수 있는 능력, 사회에 대한 궁금증을 우리는 ‘사회학적 상상력’이라 한다. 본 과목은 다양한 방법으로 ‘사회학적 상상력’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설계되었다.

SLEZ3911 스포츠·레저 문화사 (History of Sports & Leisure)

이 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역사적 관점에서 고대, 중세, 근대, 및 현대에 나타난 여가 및 스포츠의 의미 및 관련 현상이 각 시대별로 또한 각 사회(서양 및 한국사회)의 문화적 특성에 따라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 이해함으로써 현대사회 여가 및 스포츠의 사회문화적 특성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역사적 이해를 통해 현대인의 여가생활과 스포츠활동의 사회문화적 특성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는 능력과 향후 미래사회 여가문화 변화를 사고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운다.

SOC323 가족과 생애 (Family and the Life Course)

현대사회의 가족제도 특징과 사회 구조적 및 역사적 배경을 가족 및 개인의 생애에서 나타나는 문제점과 건강한 삶을 위한 사회제도적 보완대책을 탐구한다.

SOC339 나이듦과 죽음의 사회학 (Sociology of Aging and Death)

인간의 노령화에 따른 노인의 지위와 역할의 변화, 사회화, 건강, 여가, 가족 및 친족관계 그리고 노인복지 등의 문제를 탐구한다.

SOC3111 데이터와 사회과학(캡스톤디자인) (Data and Social Science(Capstone Design))

데이터의 수집과 처리와 관련된 기술의 발달로 인해 기존에는 가능하지 않았던 다양한, 그리고 방대한 양의 정보에 접근할 수 있게 되었다. 데이터는 SNS 상의 상호작용에서부터 소비자의 구입패턴, 건강 관련 정보에 이르기까지 인간과 사회를 파악할 수 있는 무한한 가능성을 열어준다. 사회과학 분야에서 사회 현상을 숫자를 통해 분석하고 이해하는 계량적 연구방법은 주된 연구 방법 중 하나이다. 본 수업은 사회통계학을 이용하여 양적 자료를 분석하고 의미 있는 연구 결과를 얻는 방법을 다룬다. 수강생은 사회 통계학에 대한 기본 원리를 이해하고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 원리를 실습한다. 스스로 연구 문제를 정하고 그에 맞는 양적 자료의 분석을 통해 독립적인 사회학적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의 습득이 본 수업의 목표이다.

SOC3112 프로젝트기획과 기업가정신(캡스톤디자인) (Project Planning and Entrepreneurship(Capstone Design))

학생들은 사업 및 프로젝트 기획의 형식론적, 방법론적 특성과 노하우에 대하여 학습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영역의 프로젝트를 실제로 기획하는 방법을 습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과목에서 예시적으로 이용되는 사례들은 주로 문화 영역의 프로젝트 기획이 될 것이지만, 여타의 영역들에 대한 함축적 이해도 동시에 추구된다. 기존의 프로젝트 기획론 과목 교육내용에 창업 관련 내용을 심화 보강하여 학생들에게 창업과 관련한 이론적 지식과 방법론적 도구에 대한 학습 기회를 제공하고 이에 기반한 비즈니스 창업의 실무적 실습 기회를 팀프로젝트 형식으로 제공함으로써 학생들에게 관련된 능력을 배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OC315 문화산업론 (Culture Industry)

21세기 주요 산업으로 부상하고 있는 문화산업은 문화와 산업이라는 일견 상반되는 논리를 가진 두 영역이 결합된 것이다. 이 과목에서는 이러한 문화산업이 안고 있는 긴장과 가능성이라는 공통적 특성을 이해할 분만 아니라, 정보화, 문화기술, 미디어의 발전, 문화산업 시장의 초국화 등에 따라 역동적으로 진전되고 있는 문화산업의 구조 변화를 학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SOC3115 질적연구실습(캡스톤디자인) (Qualitative Research Practicum)

사회학연구에 필수적인 질적조사기법을 이용한 사회조사의 전 과정을 실제로 해보며 학습한다. 학생들은 질적조사방법에 적합한 연구문제를 선정하고 직접 조사를 설계, 수행한다. 또한 현장연구와 내용분석 등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후 보고서를 작성한다.

SOC347 역사사회학 (Historical Sociology)

역사사회학은 과거를 탐구하고 재구성함으로써 사회 구조의 역사적 변천 과정과 동학, 현대사회의 기본적 특질이나 형태의 유래, 그리고 일상 속에 형성되어 있는 문화나 습속의 계보를 설명하고자 하는 사회학의 한 영역이다. 근대 체제와 자본주의 형성에 대한 역사사회학의 고전적 시각들을 살펴보고, 식민지 경험이나 냉전 문화 등 한국의 근·현대 역사를 사회학적으로 분석하는 접근들을 통해 우리 사회를 역사사회학적으로 바라보는 시야를 기른다.

SOC326 여가사회학 (Sociology of Leisure)

여가와 노동의 관계, 현대사회에서 여가의 사회적 기능, 일상생활 속에서의 여가, 노동력 재생산으로서의 여가, 자본주의 문화와 여가, 한국의 역사 속에 나타난 여가관 그리고 오늘날의 여가를 다룬다.

SOC346 몸과 건강의 사회학 (Sociology of Body and Health)

몸과 건강의 사회학은 사회에서 몸과 건강을 어떻게 정의하고 인식하고 분류하고 관리하는지에 대한 사회학적 접근이다. 몸과 건강은 그 물질적인 성격으로 인해 의학을 중심으로 하는 자연과학의 영역이라고 간주된다. 하지만 몸과 건강은 사회와 개인의 상호작용 안에서 조건지워지며, 재규정되며, 이해된다. 아름답고 올바르고 건강한 몸에 대한 정의는 사회마다, 역사적 시간에 따라, 그리고 규정하는 주체에 따라 다르다. 몸과 건강의 사회학은 사회가 몸과 건강함을 통제하는 방식을 인식하고 이를 통해 사회의 작동방식을 아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LEZ311 지구 지속가능성을 위한 여가와 스포츠 생활 (Sports & Leisure Life for Sustainability on Earth)

이 수업에서 학생들은 여가생활과 삶의 질의 관계, 여가생활과 지속가능성 간의 관계를 이해한다. 먼저, 한국사회에서 인구학적 및 사회문화적으로 주목 받고 있는 사회적 취약집단(고령자, 장애인, 여성, 청소년, 이민자 등)의 특성을 이해하고, 여가산업 또는 공공분야에서 이들에게 어떤 서비스를 제공하여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사회적 및 경제적 지속가능성을 실현하는가에 관한 지식과 이론을 학습한다. 또한 스포츠, 여행 등의 여가생활 참여가 환경적 지속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 환경적 지속가능성을 높이는 방안에 대하여 학습한다.

SOC338 기후위기와 생태사회학 (Climate Crisis and Ecological Sociology)

환경오염, 생태계 파괴 등 환경문제의 사회적인 원인을 고찰하고, 환경문제를 둘러싼 인간의 반응, 환경운동, 집단 간 갈등, 다양한 사회적 관계들을 분석한다.

SOC336 젠더사회학 (Gender & the Korean Society)

가족, 경제활동, 문화, 인간관계 등 사회의 여러 영역에서 나타나는 남녀 불평등 및 여성 차별의 실태와 형성 배경, 이의 결과 등을 탐구하며, 남녀평등을 이룩하기 위한 제도적 대안을 연구한다.

SOC344 미래사회와 트렌드 (Introduction to Future Studies)

후기 산업사회에 관한 다양한 이론과 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문제들을 정보화사회의 특성, 전망 및 그 사회적 결과 등과 관련하여 사회학적, 미래학적 시각에서 고찰한다.

SOC354 소비와 대중문화 (Consumption and Popular Culture)

20세기와 21세기에 걸쳐서 소비주의는 점진적으로 분명한 추세를 그리면서 글로벌한 수준에서 현대사회를 지배하는 구성 원리로 등장하고 있다. 또한 소비주의는 현대 대중문화의 구조와 맥락의 발현적 속성으로서 중심적 지위를 점하고 있다. 이 과목에서는 구조적 맥락에서 소비주의와 소비 현상이 대중문화와 관계하는 다양한 측면을 분석적으로 탐구한다.

SOC3312 포스트휴먼과사이보그의 사회학 (Sociology of Posthuman and Cyborg)

현생인류는 기나긴 진화과정 속에서 생태적 사회적 환경에 적응하며 끝없이 변화해왔다. 휴먼이라는 현생인류의 자기인식은 계몽주의적 사유의 바탕이자 근대 사회로의 이행을 촉구한 핵심요인이었다. 본 과목은 포스트 휴먼과 사이보그 현상을 통해 근대적 휴먼 이후의 현생인류의 진화과정을 예측함으로써 미래사회의 현생인류를 상상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SOC355 월드뮤직, 문화다양성과 음악의 사회사 (World Music, Cultural Diversity and Social History of Music)

세계는 점차 하나가 되어가고 있다. 세계 각 지역에는 고유한 전통과 역사에 기반을 둔 대중문화가 있지만 영어권 서구 중심의 팝문화로 세계를 접한 우리에게 지구 곳곳의 지역 대중음악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세계 공용어 구실을 하고 있는 영어의 영향력이 확대되어 가고, 영어권의 팝문화가 전지구적인 문화산업을 지배하게 된 결과 샹송이나 파두와 같은 비영어권의 대중음악 그리고 아프리카, 라틴 아메리카 지역의 대중음악은 상대적으로 알려지지 않았다. 본 과목은 각 지역 고유의 대중음악을 음악학적 분석뿐만 아니라 지역 고유의 역사문화적 맥락을 분석하는 사회사적 접근 방법과 문화연구의 방법을 포괄적으로 적용하여 세계를 그 지역의 역사 사회적 맥락을 통해 형성된 정서가 고스란히 담겨 있는 대중음악 이해를 통해 수강생의 세계에 대한 인식을 확장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SOC429 사회정책의 이해 (Understanding Social Policy)

사회정책은 각종 사회문제의 개선과 해결 그리고 사회적 위험에 대한 예방을 통한 복리증진을 목적으로 한다. 우선 국가의 주요 정책 가운데 하나인 사회보장제도의 개념, 역사적 전개과정, 현재 상황 그리고 향후 전망에 대한 이해를 도모한다. 특히 한국과 주요 국가들의 사회보장체계에 대한 비교를 통해 한국의 복지국가가 나아갈 미래상을 조망한다. 다음으로 빈곤, 고용, 주거, 보건의료, 이민 등의 영역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사회문제들을 소개하고, 이를 해결할 정책적 처방을 둘러싼 주요 쟁점을 살펴본다.

SOC443 일본사회와 문화 (Japanese Society and Culture)

일본의 각종 제도나 정책, 공식조직, 가족제도와 인간관계, 종교, 계층구조, 대중문화, 사회문제 등을 개괄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일본사회의 구조적 및 문화적 특성을 분석한다. 이론적 접근 보다는 다양한 보조 교재를 사용하여 일본사회에 대한 현실 감각 습득에 주력한다.

SOC451 예술사회학 (Sociology of Art and Literature)

인간의 문학 및 예술행위는 중요한 사회현상의 하나이다. 예술의 사회적 기능과 그 역할에 초점을 맞추어, 예술이 사회구조적, 역사적 조건에 따라 어떻게 변천하였으며 어떠한 양식으로 인간 생활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토해 본다.

SLEZ421 글로벌 스포츠와 세계화 (International Sports and Globalization)

이 수업은 대표적인 스포츠 국제조직인 FIFA와 IOC를 중심으로 자본주의의 세계화 전개 과정이 국제 스포츠에 미친 영향과 글로벌 스포츠 운영이 국제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함께 살펴보면서 글로벌 스포츠 운영의 현황과 미래에 대해 살펴본다. 이를 통해 글로벌 수준의 스포츠산업계 인재가 될 수 있는 역량을 제고시킬 수 있다.

SOC447 영상사회학 (Visual Sociology)

이론과 실습이 함께 결부된 수업으로서, 이론적으로는 20세기에 들어와 획기적으로 시각의 변화를 몰고 온 카메라의 발전과 영화, 비디오와 텔레비전, 그 이외의 시각 매체의 이미지와 영상이 현대사회와 어떤 상응관계를 갖고 있는지를 파악해 본다. 시청각매체에 대한 이해, 시각중심 문화에 대한 분석, 영상 작품에 대한 사회학적 분석 그리고 영상이미지와 사회와의 상호투사적 관계에 대해 조망해 보고, 시각과 영상이론, 그리고 사회학적 상상력이 어떻게 결합할 수 있는지 생각해 본다. 실습수업은 사회조사 프로젝트를 기획하여 다큐멘터리를 제작하는 과정을 수강생들간의 토론과 상호평가가 결합된 학생-학생 및 학생-교수 상호작용 중심으로 구성되며, 학생들은 다큐멘터리 제작 경험을 통해 시청각 매체에 대한 구체적인 이해에 도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SLEZ491 현대사회의 축제와 이벤트 (Modern Society and Festival)

이 수업에서는 현대 사회의 다양한 축제와 이벤트가 가지는 사회문화적 의미와 기능에 대해서 이해하고, 축제(이벤트)의 사회문화적 현상을 이해하는 이론들을 학습한다. 축제와 이벤트 개최에 관한 실용적 지식을 습득하고 축제 및 이벤트 분야 전문가로부터 현장지식과 경험을 듣는 기회를 가진다. 이를 통해 21세기에 무한한 성장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축제 및 이벤트 산업의 개념과 특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다양한 이벤트의 유형과 관련 직무 등을 소개하여 학생들에게 폭넓은 진로탐색의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

SOC442 중국사회와 문화 (Chinese Society and Culture)

이 과목은 중국의 사회와 문화가 가진 특징을 불평등과 변동이라는 사회학적 시각으로 논의한다. 그리고 명청시기부터 현재까지 중국의 불평등, 교육, 사회발전, 인구, 가족, 민족문화, 정체성, 가치관 등의 주제를 심층적으로 다루고, 이를 통해 비교역사사회학적 시각에서 중국의 과거와 현재의 위상을 세계사적 관점에서 조망한다. 중국사회의 특징을 규명하기 위해 여기서는 데이터 분석적 접근이라는 연구방법론을 취한다. 특히 가구 호적, 센서스, 서베이 등 다양한 자료에 대한 분석 결과를 학습하면서 피상적 혹은 주관적 추측이 아닌 근거 기반의 이해를 추구한다.

SSS411,414,415 사회과학인턴십 1,2,3 (Social Science Internship 1,2,3)

인턴십 과목은 사회과학대학 학생들로 하여금 전공 관련 현장수업을 통해 실무를 익히고 교육내용의 사회적 적실성을 높이는데 목적이 잇다. 본 과목을 수강하는 학생들은 협약이 체결된 공공기관, 산업체등에 파견되어 학기 또는 방학기간 중 일정 기간 동안 현장업무에 참여·수행함으로써 학점을 이수하게 된다.